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3

[ 백준 BOJ / c++ ] 15663번 N과 M (9) 🤔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5663 👀 접근 방식모든 경우의 조합을 생각하되, 오름차순 정렬 및 중복 출력X 를 고려해야 한다. 조합 및 순열을 만드는 방법으로는 "백트래킹"을 사용하도록 한다.   "오름차순 정렬"의 경우 백트래킹을 진행하기 전 입력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 후 진행하면 낮은 값 ~ 높은 값 순으로 출력이 되기 때문에 함수 실행 전 sort함수를 사용해 미리 오름차순 정렬을 진행한다. "중복 출력 방지"의 경우 다음 입력값을 최근 조합의 마지막 값과 같은지 검사해, 같지 않을 경우 다음 백트래킹을 진행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이전 조합의 "2 4" 이고 다음 숫자가 4인 경우 조합 "2 4"의 마지막 값인 4와 같기 때문에 다음 숫자 4.. 2025. 1. 27.
딥러닝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전이학습이란? 1. 서론: 왜 전이학습이 필요할까요?딥러닝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와 막대한 계산 자원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델을 처음부터 학습시키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입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입니다. 전이학습은 이미 학습된 모델의 지식을 새로운 문제에 적용하여 모델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마치 사람이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해 기존에 알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는 것과 같습니다.전이학습의 등장 배경:데이터 부족: 특정 분야의 데이터는 구하기 어렵거나 양이 적은 경우.. 2025. 1. 27.
EPP와 EDR 통합 솔루션으로 엔드포인트 보안 강화 1. 서론: EPP와 EDR 통합의 등장 배경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사이버 위협의 규모와 복잡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랜섬웨어, 피싱 공격, 제로데이 취약점과 같은 고도화된 공격은 기업과 조직의 엔드포인트 보안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일 보안 솔루션만으로는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워졌습니다.기존의 엔드포인트 보호 플랫폼(EPP)은 악성 소프트웨어를 사전에 탐지하고 차단하는 데 중점을 둔 반면,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EDR)은 발생한 위협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응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 두 솔루션이 개별적으로 운영될 때는 보안의 틈새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EPP와 EDR을 통합한 솔루션은 보다 강력하고 통합적인 엔드포인트 보안 체계를 제공하여 현대적인 보.. 2025. 1. 27.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란? 차세대 보안 모델을 이해해보자! 1. 서론: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의 등장 배경디지털 전환과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 원격 근무, IoT 기기 사용이 급증하면서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 모델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보안 방식은 네트워크 내부를 신뢰하고 외부를 차단하는 구조로, 내부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다는 가정에 기반을 둡니다. 하지만, 내부에서 발생하는 위협과 데이터 유출 사고가 늘어나면서 이 접근 방식의 취약성이 명확해졌습니다.이러한 배경에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Zero Trust Architecture)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제로 트러스트는 "절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는 원칙을 기반으로 하며, 네트워크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접근 요청에 대해 지속적인 검증을 요구하는 보안 모델입니다. 특히, .. 2025. 1. 27.
MFA란? 유저의 계정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다중 요소 인증 방식 1. 서론: MFA의 등장 배경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온라인 계정과 데이터 보안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졌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비밀번호 기반 인증 방식은 점점 더 많은 위협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데이터 유출, 피싱,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 등이 증가하면서 비밀번호만으로는 계정을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이 분명해졌습니다.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다중 요소 인증(Multi-Factor Authentication, MFA)입니다. MFA는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둘 이상의 요소를 요구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인증 절차가 더 복잡해지고, 계정을 해킹하려는 시도가 더욱 어려워집니다. 현재 많은 기업과 개인 사용자들이 MFA를 도입하여 데이터 보안 수준을 높이고 있습니다.2... 2025. 1. 26.
웹2.0 vs 웹3 인터넷의 변천사와 차이점 1. 서론: 웹2.0과 웹3의 등장 배경인터넷은 지난 수십 년간 빠른 속도로 발전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웹 기술의 패러다임도 크게 변화했습니다. 웹1.0은 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초기 인터넷 환경으로, 사용자들은 단순히 콘텐츠를 소비하는 데 그쳤습니다. 이후 등장한 웹2.0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플랫폼 중심의 인터넷 환경으로 발전했습니다.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가 웹2.0 시대를 대표합니다.그러나 웹2.0의 성공 뒤에는 중앙집중화와 개인 데이터 독점 문제가 부상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개념이 바로 **웹3(Web3)**입니다. 웹3는 블록체인 기술과 탈중앙화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사용자들에게 데이터 주권을 되돌.. 2025. 1. 26.
반응형